장대명화張大明華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장대명화張大明華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667)
    • 추천우수 수필 (1093)
    • 5매수필 (33)
    • 좋은 글. 삶의 지혜 (97)
    • 그림. 포토 (35)
    • 작가회 활동 (158)
    • 일상에서 (36)
    • 법문 (86)
    • 충청일보 백목련 집필 글 (0)
    • 수필작법 도움 글 (90)

검색 레이어

장대명화張大明華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법문

  • 카르마란 무엇인가.

    2020.11.04 by 장대명화

  • 업과 윤회

    2019.05.16 by 장대명화

  • 불교와 과학 / 관점에 따라 달라 보이나 본질은 하나

    2019.05.16 by 장대명화

  • 영동 반야사 보유 문화재의 가치에 대한 세미나

    2018.06.29 by 장대명화

  • 무명을 깨는 삶

    2015.12.27 by 장대명화

  • 깨달음 ㅡ 보왕삼매론

    2015.01.18 by 장대명화

  • 詩로 읽는 불교 ㅡ 눈부처(아와무아)

    2014.03.17 by 장대명화

  • 부처와 중생은 한 마음에서 나와 그 원리 이해하고 깨닫는 게 불교

    2013.06.17 by 장대명화

카르마란 무엇인가.

카르마란 무엇인가. 카르마는 인과의 흐름이다 오롯하고 맑고 명료한 지혜, 이것이 우리의 본성이자 우주의 본성이다. 모든 존재는 그 본성이 투명의식의 산물이므로, 선악의 구별을 떠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드러나는 이 세계의 모든 흐름은 원인과 결과의 법칙을 따른다. 설령 우주의 창조자인 신이라 할지라도 원인과 결과가 만들어내는 필연적인 흐름에는 거역할 수 없다. 다만 조건을 변화시킴으로써 흐름의 물꼬를 트거나 방향을 조절하여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는 있다. 원인과 결과의 인과법칙을 통틀어 카르마(karma)라고 하는데, 자연과학에서의 인과율이 물질세계의 인과법칙인데 반하여, 카르마는 정신과 물질의 모든 영역을 포괄하는 인과법칙이다. 산스크리트어 카르마(karma)를 번역한 가장 보편적인 우리말은 "업(..

법문 2020. 11. 4. 07:07

업과 윤회

업과 윤회 우리는 연기(緣起)의 진리를 알지 못하므로 나쁜 짓을 하고도 그 과보에 대해서는 무감각하여 피해가길 바라며 무상(無常)의 진리를 알지 못하기에 내 육신, 내 재산, 내 명예에 집착하여 그것이 멸할 때 괴로움에 빠지게 되고 무아(無我)의 진리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나다', '..

법문 2019. 5. 16. 10:51

불교와 과학 / 관점에 따라 달라 보이나 본질은 하나

사물을 바라보는 개념… 과학이 증명해 우주와 자아가 무엇인가 하는 것은 종교, 철학, 과학의 공통적 관심사이다. 21세기에 이른 지금 이 관심사에 대해 물리학과 인지과학(認知科學, cognitive science)은 각각의 영역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얻었다. 물리학은 양자역학과 상대성이론(相對性理論)을 통하여 물질과 우주에 대해, 인지과학은 마음(또는 정신)과 생명현상에 대해 우리로 하여금 깊은 이해를 갖게 만들었다. 이들의 과학적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물질을 떠나서 마음과 이해할 수 없고 마음을 떠나서 물질을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된다. 마음과 물질이 서로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다면 마음과 물질의 본질을 과학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지과학과 물리학의 통섭적(通攝的) 이해가 필수적일 것..

법문 2019. 5. 16. 10:40

영동 반야사 보유 문화재의 가치에 대한 세미나

영동 반야사는 6월28일 ‘보유 문화재의 가치와 사찰의 환경·종합정비를 위한 세미나’를 개최했다.영동 반야사(주지 성제스님)는 지난 28일 경내 설법전에서 ‘보유 문화재의 가치와 사찰의 환경·종합정비를 위한 세미나’를 개최했다.반야사는 법주사의 말사로 851년 신라 무염국사가 창건한 천년사찰이다. 보물 제1371호 삼층석탑과 대웅전, 삼존불, 석조 부도 등 다수의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으며 산과 계곡이 깊고 주변 경관이 수려해 역사적, 경관적 가치가 높게 평가되고 있다.반야사는 이번 세미나를 통해 보유 문화재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체계적인 사찰 종합정비 방안을 모색하여 문화재를 효율적으로 보존·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수립할 계획이다.이날 세미나에서는 광주 빛고운절 주지 무진스님이 불교문화재 분야를 비롯해 오..

법문 2018. 6. 29. 22:19

무명을 깨는 삶

무명을 깨는 삶 어떤 사람이 죽어 저승에 가자 염라대왕이 물었다. “너는 살아서 무엇을 하였느냐?" 그 사람이 곰곰이 생각한 후 “남들처럼 정신없이 태어나 살기 위해서 열심히 먹었고, 자라서는 공부 잘하라하니 열심히 공부했고, 청년이 되어서는 직업을 얻기 위해 노력했고, 직업을 가져서는 열심히 돈 벌려고 애썼고, 또 장가가려고 노력했고, 자식 낳아 훌륭히 키우려고 힘썼고 등등 누구나 하는 일을 나도 열심히 하면서 살았습니다. 그런데 영원히 행복하게 살 줄 알고 하루하루를 보냈는데 어느 날 갑자기 이렇게 오고만 것입니다.”라고 답했다. 그랬더니 염라대왕은 “됐다. 이제 그만 가라!~” 라고 말하는 것이 아닌가. 쓰다달단 말도 없이 더 듣지도 않는 염라대왕의 말에 겁이 덜컥 난 이 사람, “한번만 더 기회를..

법문 2015. 12. 27. 22:01

깨달음 ㅡ 보왕삼매론

깨달음 몸에 병 없기를 바라지 말라. 몸에 병이 없으면 탐욕(貪慾)이 생기기 쉽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병고로써 양약을 삼으라" 하셨느니라. 세상살이에 곤란함이 없기를 바라지 말라. 세상살이에 곤란함이 없으면 업신여기는 마음과 사치한 마음이 생기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

법문 2015. 1. 18. 01:57

詩로 읽는 불교 ㅡ 눈부처(아와무아)

눈부처 네 눈동자 속 나 나인가, 너인가 나는 없는데 내가 있다고 집착하면 타인의 욕망을 점유하고 그들을 배제하고 폭력을 가하면서 나를 지키고 강화하려 한다. 하지만 내가 없다며 나를 버리면 타인을 위해 오히려 나의 욕망을 절제하며 그를 그답게 하여 거꾸로 나를 존재하게 한다...

법문 2014. 3. 17. 00:36

부처와 중생은 한 마음에서 나와 그 원리 이해하고 깨닫는 게 불교

부처와 중생은 한 마음에서 나와 그 원리 이해하고 깨닫는 게 불교 법문 http://blog.naver.com/snc3175/130041081617 그런 까닭에 원성실성과 의타기성은 서로 다른 것도 같은 것도 아니다. 마치 항상함이 없는 법의 성품처럼, 원성실성을 보지 못하면 의타기성도 볼 수가 없다. 현실에 물들지 않고 ..

법문 2013. 6. 17. 22:01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5 6 ··· 11
다음
TISTORY
장대명화張大明華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