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영어로 읽는 법문 ㅡ 인생은 한갓 꿈과 같은 것

법문

by 장대명화 2011. 6. 9. 23:38

본문

         Life is like a Dream

 

 All compounded things are like a dream, a phantom, a reflection, They are like lighting, Thus lines are a very important teaching in the Dimond Sutra, If you are attachd to your thinking, then every thing has name and form. But name and form are always changing, chinging, and changing,Therefore, everything is impermanent.

 Everything is like a dream, is like dew, is like a bubble or a flash of lighting, because nothing lasts but is always in a process of change. Rather than being some constant, fixed reality, this whole universe constantly appears and disaappears. But there is a way to experience the true nature of this constantly changing universe. Don't become attached to any outside world. Don't become attached to names and forms. If you do that, then your mind is not moving. Names and forms are fundamentally empty without substance. You yourself are completely empty Nothing ever appears or disappearo. when you soon attain your true self.

 That is the Diamond Sutra's teaching,. But reading dream, you need to use a diamond sword. only keep a don't know mind; this is your true diamond sword. lf you want to let go of this suffering. practice and practice. Just do it.

 

 이 사구게는 금강경의 가장 핵심적인 가르침 입니다. 만약 당신이 (실체에 대한)생각에 집착한다면, 모든 것에 이름과 모양[名色]을 부여하는 것이 됩니다. 그러나 이름과 모양은 언제나 끈임없이 변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모든 것은 무상한 것입니다.

 세상의 어떤 것도 머물지 않고 항상 변하기 때문에, 모든 것은 꿈이고, 이슬이고, 물거품이고 번갯불과 같은 것입니다. 이 세상은 머물거나, 변화하지 않는 고정된 실체라기 보다는 온 우주의 모든 것은 끊임없이 만났다 사라지는 변화 속에서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지속적인 변화를 통해 우리는 우주의 본성(무상함)을 경험할 수가 있습니다.

 어떤 바깥 세계에도 집착하지 마십시오, 이름과 형상에 집착하지 마십시오. "모든 것은 한바탕의 꿈이며, 허깨비이며, 물거품이고, 그림자에 불과하며, 아침이슬이나 번개와 같다. 너희들은 마땅히 모든 것을 그렇게 알아야 한다." 이 말을 새긴다면, 당신의 마음은 움직이지 않을 것입니다. 이름과 모양은 본디 실체가 없이 공한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당신의 존재도 완벽히 공합니다. 아무것도 나타나거나 사라지거나 하지 않습니다. 이것을 깨닫는다면, 당신은 참자아를 얻을 수가 있습니다.

 "금강경'의 가르침이 바로 그것입니다. 그러나 경전을 읽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당신의 괴로운 꿈을 없애기 위해선 금강경을 사용해야 합니다. '오직 모를 뿐'이라는 마음을 가지고 수행하십시오. 이런 마음이 바로 금강경 입니다. 모든 괴로움을 없애기 위해서는 수행을 하고 또 하십시오. 오로지 수행만이 길입니다.

 

                  숭산 스님의 '선의 나침반' 중에서  (전옥배 한국불교영어번역연구원장)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