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와 궁합 안 좋은 음식 4가지
커피는 전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음료 중 하나로,
단순한 기호를 넘어 여러 건강상의 이점이 있다.
그러나 커피와 함께 먹으면 일부 영양소의 흡수에 영향을 미쳐
일부 효과가 감소되는 음식들이 있다.
미국 건강전문매체 헬스(Health)의 자료를 바탕으로 소개한다.
(감귤류 과일)
커피와 감귤류 과일을 먹으면 소화 불편을 일으킬 수 있다.
커피는 자연적으로 산성이며, pH 수치는 0-14의 척도에서 평균 4.85에서 5.13 사이다.
감귤류 과일과 그 주스도 높은 산성을 띄고 있으며,
위식도 역류 질환(GERD)을 유발할 수 있다.
GERD는 메스꺼움, 복부 팽만감, 속쓰림과 같은 불편한 증상으로 나타나는데,
커피와 감귤류 과일을 함께 섭취하면 위벽을 자극하여 이러한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적색육)
철분은 혈액 순환, 호르몬 생성, 면역 기능을 지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연구에 따르면
커피를 마시면 장에서 영양소 흡수에 영향을 미쳐 특히 철분 흡수를 방해할 수 있다.
붉은 고기는 철분의 가장 좋은 공급원 중 하나로,
스테이크와 함께 커피를 마시면 건강상 이점이 떨어진다.
한 연구에서는 식사 후 커피를 마시면 철분 흡수가 약 39% 감소한다고 밝혀졌다.
(우유)
우유는 뼈 건강, 근육 기능, 혈액 응고, 호르몬 생성에 필수적인 칼슘의 훌륭한 공급원이다. 한 컵의 무지방 우유는 평균 건강한 성인의 칼슘 일일 권장 섭취량의 23%를 충족시킨다.
그러나, 커피와 우유를 함께 섭취하면 칼슘 흡수가 방해될 수 있다.
커피의 카페인이 칼슘의 순 흡수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흡수되지 않은 칼슘은 소변으로 배출되며,
소변 칼슘 배출이 증가하면 신장 결석과 뼈 건강 문제의 위험이 높아진다.
(튀긴 음식)
연구에 따르면
커피 섭취가 증가하면 혈중 지방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하루에 세 잔 이상의 커피를 마시면
저밀도 지단백(LDL) 콜레스테롤('나쁜' 콜레스테롤)이 증가해
심장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 고밀도 지단백(HDL) 콜레스테롤('좋은'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튀긴 음식을 자주 먹는 것은 심혈관 질환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으므로,
규칙적으로 커피를 마시는 사람들은 심장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튀긴 음식 섭취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블랙커피의 네 가지 건강상 장점은 무엇?
블랙커피가 체중 감량과 치매 예방을 돕는다는 기사가 미국의 유명매체에 실렸다.
블랙커피 1잔의 열량은 2㎉, 카페인 함량은 95㎎,
지방과 단백질 함량은 각각 0gㆍ0.3g으로 기술됐다.
최근 블랙커피 관련 기사(Black Coffee Benefits: Dietitian On Heart Health, Weight Loss, Risks. 블랙커피의 장점 : 심장 건강, 체중 감량, 위험에 대한 영양사의 의견)에서 블랙커피를 하루 한 잔 이상을 마시면 얻을 수 있는 건강상 이점 4가지가 소개됐다.
(심장 건강에 이롭다)
하루 2~3잔의 커피 섭취는 수명연장, 심장 질환ㆍ
심장 박동 문제의 위험감소와 관련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는 심장병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 모두에게 적용되는 커피의 혜택이다.
(사망률을 낮춘다)
커피, 특히 무가당 커피를 마시는 것이 사망 위험을 낮추는 것과 관련이 있다는
또 다른 연구 논문이 발표됐다.
설탕을 넣지 않고 매일 커피를 1.5~3.5잔 마신 사람은
커피를 전혀 마시지 않은 사람보다 7년 동안 사망 확률이 16~21% 낮았다.
커피를 마시는 사람은 간 질환과 제2형(성인형) 당뇨병 발생 위험이 감소했다.
(다이어트를 돕는다.)
카페인이 함유된 커피를 적당량 섭취하는 것이
효과적인 체중 관리 전략이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이를 뒷받침한다.
이 논문 지난 2023년 임상영양(Clinical Nutrition)지에 실렸다.
평소 커피를 거의 마시지 않다가 주(週) 최대 7잔까지 커피 섭취량을 늘린 사람의
총 체지방이 감소한 것으로 밝혀졌다.
커피의 이런 항비만 효과(anti-obesity effect)는 커피가 신진대사를 활발히 하는 등
대사 영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추정됐다.
커피를 즐겨 마시는 사람은 신체활동도 더 많이 하는 경향이 있다.
(뇌 건강에도 유익하다)
하루에 4~6잔의 커피를 마시는 사람의 뇌졸중과
치매 발병률이 낮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있다.
커피는 기분을 좋게 할 수 있다. 적당량의 카페인은 우울증 해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는 뇌의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을 자극해서다.
블랙커피가 건강에 이로운 것은 커피 원두에 강력한 항산화 성분을 포함해
100개 이상의 생리활성물질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2022년 미국 심장학회(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생리활성물질은 신체의 염증을 줄이고, 인슐린 민감성을 개선하며,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장의 지방 흡수를 억제하며,
비정상적인 심장 박동과 관련한 수용체 차단을 돕는다.
***시금치랑 두부, 같이 먹다간… 몸에 ‘돌’ 생긴다***
아무리 건강에 좋다지만, 궁합이 안 맞는 음식끼리 먹으면 오히려 몸에 독이 될 수 있다.
같이 먹으면 안 되는 대표적인 식품 5가지를 소개한다.
(시금치와 두부)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에 따르면
시금치와 두부를 함께 먹으면 몸에 결석이 생길 수 있다.
시금치의 수산 성분이 두부의 칼슘 성분과 결합하면 수산칼슘으로 변해 몸속에서 굳는다. 이 응고작용으로 인해 몸에 결석이 생길 수 있는 것이다.
시금치 속 수산 함량을 줄이려면 충분히 데친 후에 먹는 게 좋다.
이외에 시금치에 참깨를 곁들여 먹는 방법도 있다.
참깨는 시금치의 수산 함량을 낮추고 칼슘 함량을 높인다.
(치즈와 콩)
치즈에는 단백질‧지방‧칼슘 등이 많다.
콩과 치즈를 함께 먹으면 콩에 풍부하게 들어있는 인산이 치즈의 칼슘과 만나서
인산칼슘을 생성한다.
인산칼슘은 체내로 흡수되지 않고, 그대로 몸 밖으로 빠져나간다.
(당근과 오이)
당근과 오이를 함께 먹으면 오이의 영양이 떨어질 수 있다.
당근에 함유된 아스코르비나아제라는 효소가 비타민C를 산화시킨다.
꼭 같이 먹어야 한다면 당근을 익혀서 먹는 게 좋다.
아스코르비나아제는 열을 가하면 쉽게 사라지기 때문이다.
당근 속 베타카로틴 성분은 기름에 볶으면 체내 흡수율이 높아지는 효과도 있다.
이외에 당근과 오이에 식초를 첨가해도 비타민C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빵과 주스)
아침에 간단하게 빵과 주스로 식사를 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빵과 주스를 함께 먹으면 소화 장애를 겪을 수 있다.
침의 프티알린 성분이 빵의 전분을 분해해 소화시킨다.
하지만 주스의 산성 성분이 침에 섞이면 프티알린의 효과가 떨어져
빵의 전분이 소화가 잘 안될 수 있다.
(토마토와 설탕)
토마토를 더 맛있게 먹기 위해서 설탕을 뿌려 먹기도 한다.
하지만 토마토 속 비타민B 성분은 설탕과 만나면 효능이 떨어질 수 있다.
우리 몸은 설탕을 분해할 때 비타민B를 이용한다.
설탕을 곁들여 토마토를 먹으면, 비타민B가 설탕을 분해하는 데 쓰여
우리 몸에 흡수가 잘 안될 수 있다.
씨앗을 씹어먹으면 죽을 수도 있는 '한국 과일’ (0) | 2025.04.04 |
---|---|
<짜장면 먹고 ‘이 증상’ 겪는지 살피면, 건강 상태 알 수 있다> (1) | 2024.12.06 |
화장하는 순서 (0) | 2024.10.29 |
생활의 지혜 (1) | 2024.10.29 |
80세의 벽 (0) | 2023.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