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신화(神話)같이 다비데군(群)들
― 4·19의 한낮에
신동문
서울도 해 솟는 곳
동쪽에서부터
이어서 서 남 북
거리 거리 길마다
손아귀에 돌 벽돌알 부릅쥔 채
떼지어 나온 젊은 대열
아! 신화(神話)같이
나타난 다비데군(群)들
혼자서만 야망(野望) 태우는
목동(牧童)이 아니었다
열씩 백씩 천씩 만씩
어깨 맞잡고 팔짱 맞끼고
공동의 희망을 태양처럼 불태우는
아! 새로운 신화 같은
젊은 다비데군들
고리아테 아닌
거인 살인 전제(殺人專制) 바리케이트
그 간악한 조직의 교두보
무차별 총구 앞에
빈 몸에 맨주먹 돌알로서 대결하는
아! 신화같이 기이한 다비데군들
빗살 치는 총알 총알
총알 총알 총알 앞에
돌 돌 돌 돌 돌
주먹 맨주먹 주먹으로
피비린 정오의
포도(鋪道)에 포복(匍匐)하며
아! 신화같이
육박하는 다비데군들
제마다의 가슴
젊은 염통을 전체의 방패삼아
과녁(貫革)으로 내밀며
쓰러지고 쌓이면서
한 발씩 다가가는
아! 신화같이 용맹한 다비데군들
충천하는 아우성
혀를 깨문 안간힘의
요동치는 근육 뒤틀리는 사지
약동하는 육체
조형(造型)의 극치를 이루며
아! 신화같이 싸우는 다비데군들
마지막 발악하는
총구의 몸부림
광무(狂舞)하는 칼날에도
일사불란 해일처럼 해일처럼
밀고 가는 스크램
승리의 기(旗)를 꽂을
악(惡)의 심장 위소(危所)를 향하여
아! 신화같이
전진하는 다비데군들
내흔드는 깃발은
쓰러진 전우의 피묻은 옷자락
허영도 멋도 아닌
목숨의 대가(代價)를
절규로 내흔들며
아! 신화같이
승리할 다비데군들
멍든 가슴을 풀라 피맺힌 마음을 풀라
막혔던 숨통을 풀라
포박된 정신을 풀라고
싸우라 싸우라
싸우라고 이기라
이기라 이기라고
아! 다비데여 다비데들이여
승리하는 다비데여
싸우는 다비데여
쓰러진 다비데여
누가 우는가 너희들을 너희들을
누가 우는가
눈물 아닌 핏방울로
누가 우는가
역사(歷史)가 우는가
세계(世界)가 우는가
신(神)이 우는가
우리도 아! 신화같이
우리도 운다.
월간 『사상』 1960년 6월호 발표
신동문 [辛東門, 1928.7.20~1993.9.29] 시인
1927년 충북 청원 문의 산덕리에서 출생했다. 서울대학 문리대를 중퇴하고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시 《풍선기(風船期)》(1956)가 당선되어 등단했다. 《수정화병에 꽂힌 현대시》(1957) 《조건사초(條件史抄)》(1958) 《무제(無題)》(1959) 등의 현실의식과 저항적인 경향의 역작을 발표하고 제1시집 《풍선과 제3포복》(1956)을 간행했으며, 제1회 충북문화상을 받았다.
[신동문시인 시비 제막식 알림 프랜카드]
[신동문시인 시비]
[50년대 청주의 푸른문문학 주역들...]
[신동문시인 시비 건립의 추진을 진두지휘하신 김홍은교수님, 장란순 푸른솔작가회 회장님, 최종희 작가님, 고영옥작가님]
[문의 문화재단지 내 붉게 물든 단풍과 석장승]
[가을의 단풍나무]
[빨강단풍과 노란단풍]
[화살나무의 단풍]
[멀리바라본 대청호수의 가을풍경]
[가을의 호수]
[한잎씩 떨어지는 가을의 낙엽]
[김홍은 교수님, 이내훈 문의향교 전교님]
[스크랩] 푸른솔작가회 문의향교 송강정철 시화 전시회_2 (0) | 2012.10.31 |
---|---|
[스크랩] ...푸른솔작가회 문의향교 송강정철 시화 전시회_3 (0) | 2012.10.31 |
[스크랩] 신동문시인 사비제막식_2(문의문화재단지) (0) | 2012.10.31 |
[스크랩] ...반딧불 출판기념 (0) | 2012.10.23 |
[스크랩] 낭송회 단체모습 (0) | 2012.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