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 / 김 영 옥
피아노를 친다.
소나티네, 모차르트의<론도 라장조>.
1악장의 첫 도입 부분이 아주 쉽고 편안하다. 첫 마디만 가지고서는 초등학생도 칠 수 있을 것 같다. 하지만 뒤 이어 나타나는 음표를 읽어보면 이 곡이 범상치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고 놀라지는 않는다. 1악장 빠른 박자의 경우 오른손과 왼손을 잘 연결하기만 하면 다음의 4분 음표는 여유 있게 칠 수 있으므로 그 후부터는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다.
남편은 월요일 아침이면 서울에 갔다가 금요일 밤이 되면 집으로 돌아오는 학생이었다. 집 주변에는 무덤만 보이고 거의 이웃도 없는 시골이었다. 하루 하루 손가락을 꼽으며 남편을 기다렸다. 그것이 나의 신혼시절이었다.
남편이 돌아오는 금요일 밤, 마중 나간 내 눈에 승객이 거의 없는 버스 한 대가 나타나고 출입구에 서서 내릴 준비를 하고 있는 남편이 보인다. 나를 발견한 남편은 반가운 표시로 손을 쳐든다. 남편과 함께 집으로 오는 동안 우리 부부는 하찮은 것 까지 모두 물으며 답한다. 5분이면 집에 도착할 것을 이야기 하다가 30분도 더 걸리고 하였다.
다음날 아침 정성을 다하여 밥상을 차렸다. 문제는 계란 후라이었다. “우리 어머니는 여기에 소금 말고 조선간장을 치시던데 “남편의 이 한마디 말에 나는 발끈하였다. ”계란 후라이에 장 친다는 소리는 내가 지금까지 살아 오면서 처음 들었소.“ 내 나이 24세였다.
모짜르트<론도라장조>의 시작만큼 아주 쉽고 문제없을 것 같았던 나의 신혼 초의 처음 삐그덕거림이었다. 하지만 오른손과 왼손의 연결부분을 주의해서 잘 이어주면 그 뒤에 나타나는 악보는 수월하게 연주할 수 있는 1악장처럼 우리의 결혼생활도 그렇게 흘러갔다.
<모짜르트 론도 라장조>의 2악장은 평범하면서도 서정적이다. 들어가는 첫 부분부터 간절하고 아름다워서 눈물이 핑 돌기도 한다. 그렇다고 감정에 치우쳐서 대충 넘기면 안 된다. 2악장은 전체적으로 볼 때 한 음 한 음 짚어가듯 정확하게 연주해야 할 것 같다는 게 내 생각이다.
내가 둘째 아이를 임신 했다는 소식을 들으신 친정엄마는 천으로 된 기저귀를 만들어 오셨다. 삶아 빤, 햇빛에 잘 말려진 기저귀는 백옥 같이 희었다.
하지만 열 달 만에 태어난 둘째 아가는 석 달도 못 되어 세상을 떠났다. 눈만 감으면 마당 빨래 줄 가득 하얀 기저귀가 펄럭였다. 바람이 부는 대로 훅 치솟았다가 길게 다시 내려오곤 하였다. 놀라 눈을 번쩍 뜨면 희디 흰 기저귀가 내 머리맡에 그대로 쌓여 있었다. 아랫배 근처에서부터 양쪽으로 살이 쭈욱 찢어지면서 위로 올라오는 느낌, 나는 그 때 처음으로 가슴이 아프다는 게 무엇인지 알았다.
큰 아이가 있지 않느냐. 정신을 차려야 한다고 내가 나한테 말했다. “느긋하게 살아 부러라” 고, 하시던 시어머니의 말씀도 새겨 들었다.
모차르트의<론도 라장조>마지막 3악장이다. 세 악장 중 가장 어려운 부분인 것 같다. 내가 지금 치고 있는 게 맞는가 여기까지 생각이 미치면 손가락에 힘이 빠진다. 그만 피아노 뚜껑을 닫고 싶다. 난해한 스타카토 때문이다. 하지만 집중해서 천천히 차분하게 연습하면 된다는 건 나도 잘 알고 있다. 스타카토는 1,2악장에도 있었지만 무난하게 넘어가지 않았는가.
지난 몇 년 동안 일기도 거의 적지 않았다. 이따금씩 수첩을 꺼내 메모하던 습관도 그만 두었다.
어려웠다. 갈피를 잡을 수 없을 만큼 막막했다. 그렇지만 사실 나는 글이 쓰고 싶었다.
오랜만에 피아노 앞에 앉았다. 모차르트의<론도 라장조>를 친다.
뜰엔 햇살이 / 남영숙 (0) | 2011.04.29 |
---|---|
옛날이야기 / 허창옥 (0) | 2011.04.29 |
손 / 임만빈 (0) | 2011.04.29 |
양푼 예찬 / 이은희 (0) | 2011.04.29 |
나무가 서 있는 풍경 / 김국자 (0) | 2011.04.29 |